유아 몸 놀이 연구소 썸네일형 리스트형 뜀틀 운동 ○ 뜀틀 운동은 왜 하나요? 뜀틀이라 함은 뜀을 뛰기 위한 기구를 말하는데 뜀을 왜 해야 할까? 그 이유를 알려면 잠시만이라도 놀고 있는 어린이들을 지켜보면 알 수 있다. 특히, 특별한 장난감 없이 놀고 있는 어린이들을 보면 누가 그렇게 하라고 시킨 것도 아닌데 주로 하는 놀이가 뛰는 놀이이다. 이럴 때 아이들이 뛰는 이유는 특별하지 않다. 뛰는 것 자체가 놀이가 되기 때문이다. 회사에 지각하지 않기 위해 뛰는 아빠들, 약속 시간에 늦어 뛰는 언니들... 어른들은 주로 서두르기 위해 뛴다. 하지만 아이들은 서두르기 위해서라기보다는 놀기 위해서 뛴다. 곧 뜀은 놀이에서 시작이 된 것이고 이렇게 시작된 뜀은 몸을 서둘러 움직이기 위해서 사용된다. 아이들에게 있어 뜀은 자연스러운 놀이이자 어린이들의 욕구라는 .. 더보기 평균대 운동 ○ 평균대 운동은 왜 하나요? 평균대 운동은 쉽게 말해 몸의 중심을 잡는 운동이라 할 수 있다. 몸의 중심을 잡는다는 것은 골격과 근의 발달을 균형 있게 가져감을 포함한다. 몸의 균형은 아이들의 성장발달에 무척 중요한 요소이다. 균형이 틀어지면 질병에 걸리기 쉽고 치유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므로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들에게 몸의 균형과 중심을 잡는 운동은 필수적인 운동이라 할 수 있다. ○ 챙기기 및 장소: 평균대, 매트(줄 또는 색 테이프, 긴 막대 등) 평균대를 하기에는 넓고 평평한 장소가 좋다. 유아들의 경우 평균대의 높이는 유아들의 무릎 정도가 정당하고 길이는 규격화되어 나오는 것이 많은데 보통 5M 정도 되며 평균대의 폭은 통상 15㎝ 정도이다. 평균대에 처음 올라 선 어린이는 중심을 잡으려고 자.. 더보기 매트 운동 이렇게 하면 된다. 1. 푹신푹신 매트놀이 ○ 매트 운동은 왜 하나요? 매트 운동은 온몸을 전부 사용하는 온몸 운동이기 때문에 어린이 운동 및 신체교정 운동으로 좋은 운동 이다. 몸의 중심을 이리저리 옮기면서 달라진 중심을 바로 잡기 위한 몸의 움직임이 많고 관절 및 근육을 많이 사용하여 몸 전체가 고루 유연해진다. 무엇보다 몸 전체에 고른 자극을 주어 아이들의 성장발달에 도움이 많이 된다. 특히, 겁이 많거나 자기표현이 적극적이지 않은 어린이들에게는 몸을 통해 표현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가 된다. ○ 챙기기 및 장소: 매트, 구르기 보조 도구(유니바, 나무막대, 공 등) 장소는 평평하고 넓은 곳이 좋다. 천정 높이가 낮은 곳은 심리적 안정을 주기는 하지만 뛰거나 뛰어 구 르기를 할 경우 부딪힐 것이 염려되어 행동반경을 크.. 더보기 기구 운동 놀이 이렇게 하면 됩니다! 제 3 장. 기구운동 놀이 이렇게 하면 됩니다. Ⅰ. 선생님은 무엇을 어떻게 하지? 기구운동 놀이를 할 도구도 있고 아이들도 있다고 해서 모든 것이 다 갖추어 진 것은 아니다. 여기에 또 하나 꼭 필요한 것이 바로 기구운동 놀이를 함께 할 선생님이다. 단순히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놀이라면 오히려 선생님이 방해요소가 될 수도 있지만 기구운동 놀이를 할 때에는 세심한 주의와 안전이 요구되기 때문에 선생님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때때로 기구운동 놀이를 배운 어린이들이 선생님이 없을 때 자기네들끼리 기구운동 놀이를 하려고 할 때도 있다. 수업 시간이 아닌 놀이 시간이라 할지라도 아이들이 기구운동 놀이를 하려고 할 때에는 선생님은 반드시 아이들과 함께 하며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함을 잊.. 더보기 기구 운동이란? Ⅰ. 기구운동과 놀이가 어울려요? ‘기구운동’이라 함은 기구를 사용해서 운동한다는 것인데 여기에 왜 ‘놀이’라는 것이 붙었을까? ‘기구운동’과 ‘놀이’는 과연 어울릴 수 있는 말일까? 여기서 먼저 짚어봐야 할 것은 아이들과 놀이와의 관계이다. 놀이는 숨을 쉬도록 해주는 공기와 같이 아이들의 생활을 위한 절대적인 요소다. 놀이는 아이들에게 다양한 삶의 방식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놀이 안에는 재미를 더해주는 놀이의 규칙이 있다. 규칙은 놀이를 통해 보다 풍성한 재미를 가져다준다. 이러한 놀이의 장점을 잘 살려 기구운동에 응용한 것이 바로 기구운동 놀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기구운동과 놀이가 잘 어울린다고 할 수는 없다. 아이들에게 맞는 기구운동이 있고 아이들이 하기에는 위험하거나 .. 더보기 유아 체육 교사가 되려는 예비 교사들에게 1. 몸 수업이란? 일반적인 의미로 체육 수업을 말한다. 체육이란 운동을 해서 신체를 튼튼하게 하는 것이고 그것을 목적으로 한 교육을 말한다. 운동은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몸을 움직이는 것을 말하며 여기서 어떠한 목적에 해당하는 것은 대부분 건강이나 신체단련이다. 이러한 풀이는 사전적인 의미이기도 하거니와 우리가 체육을 말할 때 의심 없이 받아들이는 부분이다. 2. 체육 수업에 대한 기억, 망각 그리고 각성 인간은 기억의 동물이다?? 우리 속담에 ‘불에 덴 강아지 반딧불에도 끙끙한다.’ 라는 속담이 있다. 강한 통증을 느꼈던 기억은 기억 깊숙이 자리 잡아 비슷한 것만 봐도 섬뜩해 지는 법이다. 높은 곳에서 떨어져 본 적이 있는 사람이 높은 곳만 봐도 어질어질해지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또.. 더보기 몸의 주인 되기 몸의 주인으로 산다는 것은 말 만큼 쉬운 일이 아닙니다. 내 몸에 대해 잘 알고 돌봐야 하며 몸에서 오는 신호에 제대로 응답할 줄 알아야 합니다. 어린 시절 넘어져 무릎 한 번 까지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까졌다’라는 것은 외부 충격에 의해 무릎을 싸고 있는 살 껍질이 벗겨진 것을 말하는데 당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저절로 미간이 찌푸려질 정도로 아픕니다. 이런 상처를 입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제일 먼저 상처가 덧나지 않도록 소독을 해 줘야 합니다. 긴 바지를 입은 상태에서 넘어져 까진 것이라 하더라도 외부에서 병균이 침투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흐르는 물에 씻거나 소독약을 발라줍니다. 이것은 간단한 응급조치이지만 몸을 보호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기도 합니다. 그리고는 어떻게 해야 할까.. 더보기 유아 체육 수업 어떻게 해야 하나? 1. 몸 수업이란? 일반적인 의미로 체육 수업을 말한다. 체육이란 운동을 해서 신체를 튼튼하게 하는 것이고 그것을 목적으로 한 교육을 말한다. 운동은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몸을 움직이는 것을 말하며 여기서 어떠한 목적에 해당하는 것은 대부분 건강이나 신체단련이다. 이러한 풀이는 사전적인 의미이기도 하거니와 우리가 체육을 말할 때 의심 없이 받아들이는 부분이다. 그런데,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상황은 많이 다르다. 운동을 하는 대상이 어른이고 스스로의 선택에 의한 것이라면 운동의 기술적인 부분만 잘 알려줘도 기대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하지만 대상이 취학 전 어린이이거나 또는 5세 이전의 아이들이라면 기술적인 부분보다 더욱 소중한 것이 있다. 2. 소통과 나눔 결론부터 말하자면 소통과 나눔이 먼저다... 더보기 유아 체육 수업 1. 몸 수업이란? 체육 수업을 말한다. 체육이란 운동을 해서 신체를 튼튼하게 하는 것이고 그것을 목적으로 한 교육을 말한다. 운동은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몸을 움직이는 것을 말하며 여기서 어떠한 목적에 해당하는 것은 대부분 건강이나 신체단련이다. 이러한 풀이는 사전적인 의미이기도 하거니와 우리가 체육을 말할 때 의심 없이 받아들이는 부분이다. 그런데,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상황은 많이 다르다. 운동을 하는 대상이 어른이고 스스로의 선택에 의한 것이라면 운동의 기술적인 부분만 잘 알려줘도 기대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하지만 대상이 취학 전 어린이이고 교육의 일환으로 체육수업을 받는 것이라면 기술적인 부분에 앞서 담아야 할 것이 있다. 2. 소통과 나눔 결론부터 말하자면 소통과 나눔이 먼저다. 체육.. 더보기 이전 1 ···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