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달봉샘의 성장통

아름다운 삶을 위하여


" 지쳤다 ! "

나도 모르새 새어 나오는 소리

" 쉬고 싶다 ! "

고개를 떨구니 하늘이 떨어집니다.

" 잘 쉬고 오세요 ! "

" 네! 고마워요! 모두들 건강하세요 ! "

휴가를 얻었습니다.

지쳐서, 쉬고 싶어서.

무엇에 지치고

무엇으로부터 쉬고 싶은지 알고 싶어서.

일상에 지친 선생님들을 보노라면

답답한 듯 말하곤 하였습니다.

" 우리네 일이 곧 삶이고 삶이 곧 쉼이라 생각합니다.

기계처럼 일만 하는거 아니잖습니까

일 할 때 일 말고는 아무것도 안 합니까?

일 따로 쉼 따로, 노력따로 행복따로 입니까?

내게 주어진 시간을 그렇게 스스로 단절시켜 놓으면

결국 내 시간을 갖을 수 없습니다.

내 시간의 주인일 수 없습니다.

일이 곧 삶이고, 삶이 곧 쉼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

힘든 사람에게는

더 힘든 말일 수 있는데도

살아가고자 하는 모습이

살고있는 모습과 같지 않다하여

그렇게 답답해 하곤 하였습니다.

마치 나는 그렇게 살고 있는 것처럼.

그런데 이제는,

내가 지치고

내가 힘듭니다.

당당히 그렇게 말하던 내가 !

길고도 긴 휴가였습니다.

눈 감으면 하루가고

눈 뜨면 또 하루가던 그런 날들이 아니었습니다.

하루 하루 살아있다는 것이

몸서리쳐지도록 생생하던 날들이었습니다.

놓았다 잡았다

하루에도 열 두번 자신을 내던집니다.

손아귀에서 빠져나간 요요처럼

있는 힘껏 던져

스스로 ' 벵그르르르 ' 소리 낼 때까지.

줄을 끊고 벗어 나고픈 마음과

줄에 매달려 의지하는 마음 사이에서

빙그르르르 벵그르르르

돌고 도는 자신을 봅니다.

나를 잊고자 던졌을 때

되돌아 오는 자신은 ' 절망 ' 이었습니다.

스스로 만든 함성에 빠져

스스로 빠져 나올 줄 모르는.

마치 호주머니에 열쇠를 넣고서

스스로 만든 감옥에 갇혀있는 죄수와도 같은.

어디를 가든 어디에 숨든

잊고자 하는 자신을 떼어 놓을 수는 없었습니다.

나를 찾고자 던졌을 때

되돌아 오는 자신은 똑같은 ' 물음 ' 이었습니다.

자신에게 돌을 던지는 것은

연못에 돌을 던지는 것과는 다른 것이었습니다.

누구를 향한 물음이든

어디를 향한 물음이든

물음은 요요처럼 자신에게 되돌아 왔습니다.

해답은 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내 안에 있는 것이었습니다.

일상에 지치고 일상에 힘든 것이 아니라

일상에 있지 못하고

일상에서 쉬지 못한 ' 내 ' 가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입과 가슴과는 불과 한뼘밖에 되지 않지만

입으로 아는 것을 가슴으로 알기란 참으로 힘든 일입니다.

어디를 가도 내가 있고

어디를 가도 자연이 있듯이

내가 있는 곳에 온전히 머물 수 있다면

내 안의 기쁨과 행복을 볼 수 있으며

내 안의 기쁨과 행복은 내 것이 됩니다.

비로소 내 안에서 쉴 수 있게 됩니다.

휴가가 끝이 났습니다.

이제는 일상으로 돌아갑니다.

던진만큼 힘차게 되돌아

손아귀에 벅찬 힘 더하는 요요처럼

너무나도 그리운 자리

너무나도 소중한 자리

내가 살아있는 자리입니다.

아름다운 나의 삶입니다 !!

'달봉샘의 성장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없으면 나비가 온다.  (0) 2010.05.05
졸업생 캠프  (0) 2010.05.05
죽음에 대한 경험  (0) 2010.05.05
냉면 만들기  (0) 2010.05.05
별 게 다 행복한 날  (0) 2010.05.05
하늘나라 우체국  (0) 2010.05.05
  (0) 2010.05.05
감기 걸리고 싶어.  (0) 2010.05.05
죄없는 마음에도 티끌 앉을까 두렵소.  (0) 2010.05.05
묻고 답하기  (0) 2010.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