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과 소통하는 법에 정답이 있으면 편하겠지만 모범답안이 있으면 더없이 위험한 것이 아이들과의 소통입니다.
아무리 많은 아이들을 만났어도 그리고 그 아이들과 소통하려 끊임없이 노력했지만
그렇다고 모든 아이들이 전부 행복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아이들에게 다가설 때 또는 아이들이 다가오기를 기다릴 때 마다 진정 왜 소통하고자 하는지 스스로에게 묻게 됩니다.
아이가 편안하고 행복하기를 바란다는 미명 하에 오히려 아이를 불편하게 하는 것은 아닌지
이 또한 욕심이지 않을까 하며 되묻기를 반복합니다.
선생님이나 부모의 눈에 아이가 불편해 보일 뿐
아이 자체는 전혀 불편함을 모를 수도 있고 어쩌면 스스로 편안함을 찾아가는 순간일수도 있지 않을까요?
마치 신발을 바꿔 신은 아이는 불편함을 모르는데 어른인 내가 보기 불편해서 굳이 다시 고쳐 신도록 하는 것처럼.
나는 아이들과 소통하기를 원합니다.
내 진심이 잘못 전달되지 않게 하기 위해 신중히 단어를 고릅니다.
그리고 아이로부터 나오는 신뢰의 끈을 잡습니다.
정답은 없지만 소통이 잘 되었을 때의 분명한 느낌은 있습니다.
그것은 아이로부터 내게 오는 신호이고 나로부터 아이에게 가는 신호입니다.
아이들을 만나듯이 어른들을 만나면 얻지 못할 마음이 없다는 것을 아이들을 보며 배웁니다.
1. 아이들이 말하고자 할 때 듣습니다.
듣고 싶어 물을 때는 이미 늦었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말할 때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잘 듣고 들은 말이 맞는지 아이의 마음을 재확인합니다.
아이들도 제 마음을 먼저 알아주기를 원합니다.
해결책은 스스로 만들어야 하는 것입니다.
도움이란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해결책을 생각해 볼 수 있는 마음의 안정을 주는 것이 아닐까요?
2.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의 생각을 궁금해 하지 않지만 다른 아이들의 반응에는 민감합니다.
아이들만 자기중심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말은 제 마음과 생각에서 나오니 자기 마음을 떠날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자기중심적인 것이 오히려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아이들의 반응에 민감한 것도 제 마음에서 나오는 것이니 다른 이를 탓할 수 없습니다.
누구나 자기 마음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다른 아이들의 반응에 쓸 마음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것이 나를 생각하듯이 다른 나(다른 사람)를 생각하는 방법입니다.
3. 아이들의 말을 듣는다는 것은 말이 끝나기 전에 대꾸하지 않는다는 말이 아닙니다.
말을 들으며 대꾸할 말을 생각해 내지 않는다는 것,
아이들의 말을 자기 말로 해석해 내지 않는 것
그리고 아이가 했던 말로 충분히 들었다는 것을 알려 주어야 진정 들은 것입니다.
다른 사람의 말을 듣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 합니다.
다른 사람의 말이 끝나기만 기다리는 것은 결코 듣는 게 아닙니다.
이것은 들은 말을 송두리째 흘려보내는 것과 같습니다.
말을 들을 때는 듣는 것에만 최선을 다하면 됩니다.
아이들의 말은 온전히 들어주는 것만으로 충분할 때가 많습니다.
4. 혼자 말이 아니라면 상대가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하는 것이 말하기입니다.
아이들은 과연 어른들의 말을 알아듣는 것일까요?
아니면 어른들의 말을 익히며 알아듣는 척 하는 것일까요?
아이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하는 것은 아이들과의 소통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아이들이 알아들었는지 단지 듣기만 했는지 말하고 난 다음에는 아이들의 반응을 봐야 합니다.
아무리 좋은 말도 상대가 알아듣지 못한다면 소통을 위해서는 과감히 버릴 필요가 있습니다.
'교사로 성장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성 교육 (0) | 2016.06.07 |
---|---|
아이들이 만들어 가는 교육, 평화 교육 (0) | 2016.05.25 |
아이들이 사는 성(유아 성교육) (2) | 2016.05.14 |
소통의 시작 (0) | 2016.05.12 |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0) | 2016.05.12 |
끌림과 밀침 (0) | 2016.05.09 |
아기스포츠단 생활과 시설안전 매뉴얼(파일첨부) (0) | 2016.05.09 |
안전처치 (0) | 2016.05.09 |
함께 키우는 우리 아이 (0) | 2016.05.09 |
학의천(생활하천)에 대한 교사들의 이야기 (0) | 2016.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