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딜 가나 어떤 연령 무슨 반을 만나든 장난꾸러기 말썽쟁이 한 두 녀석 없는 반은 본 적이 없습니다. 아마도 개구쟁이 녀석은 반을 어떻게 구성하든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나나 봅니다.
하지만 사실 개구쟁이는 선생님 기준에만 개구쟁이 일 지도 모릅니다. 선생님의 의도가 잘 전달되지 않는 아이들이 선생님 눈에는 딴 짓하는 아이들로 보일 테니까요. 어찌되었든 이런 아이들은 선생님이 이름을 여러 번 부르게 됩니다.
오늘은 이러한 ‘부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선생님들은 잘 알고 있습니다. 다수의 집중하는 아이들과 소수의 딴 짓하는 아이들을 만났을 때 다수의 집중하는 아이를 통해 소수의 딴 짓하는 아이를 자연스럽게 집중하는 다수로 끌어 올 수 있다는 것을! 하지만 알고 있는 것과 실제로 그렇게 하는 것 사이에는 이론과 실제만큼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다수의 집중하는 아이들과 소통하다 소수의 딴 짓하는 아이를 발견하고 그 아이를 다수의 집중하는 아이들로 끌어 들이기 위해 그 아이의 이름을 부릅니다.
우리의 지난 학창 시절을 가만히 생각해 봅시다. 출석을 부르는 것도 아닌데 선생님이 내 이름을 부른다면? 제 경우에는 갑자기 긴장이 되는 동시에 가슴이 ‘쿵’하고 내려갔다 올라가는 느낌이 들 것 같습니다. 학창 시절 장난꾸러기, 말썽쟁이가 아니었는데도 그렇습니다. 단순히 이름을 부르기만 했을 뿐인데 말이지요. 이것은 경험상 선생님이 수업 시간에 이름을 부르는 이유와 선생님의 그 다음 말이나 행동이 대부분 비슷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딴 짓하는 아이의 이름을 부른 이후 과정이 참 중요합니다.
손등을 보이며 손짓을 할 것이냐! 아니면 손바닥을 보이며 손을 내밀 것이냐! 진정 아이들과 소통하길 원한다면 손등을 보이며 손짓하는 대신 손바닥을 보이며 손을 내밀어야 합니다. 손등은 지시나 주의의 느낌이지만 손바닥은 양해나 배려, 부탁의 느낌입니다. 어떠한 행동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그 다음 대화는 완전히 달라집니다. 손등을 보이며 손짓을 할 경우, 말로는 이야기를 나누자면서 결국 선생님이 할 말만 하기 일쑤입니다. 하지만 손바닥을 보이며 손을 내밀 경우는 선생님이 내민 손을 아이가 잡아주길 기다리는 기다림의 시간이 생김으로 말이 아닌 선생님의 본래의 마음을 보일 수 있는 여지가 많이 생기게 됩니다.
그러므로 진정 아이들과 소통하길 원한다면 아이를 선생님 쪽으로 당기지 말고 선생님이 아이 쪽으로 먼저 내밀고 먼저 내려 놓아야 할 것입니다.
진정 소통하길 원한다면 손바닥을 내미세요!!
'교사로 성장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곱 살 동아리 만들기 4 - 공연 편 (0) | 2016.12.19 |
---|---|
일곱 살 동아리 만들기 3 (0) | 2016.12.19 |
일곱 살 동아리 만들기 2 (0) | 2016.12.12 |
일곱 살 동아리 만들기 1 (0) | 2016.12.12 |
나는 왜 소통하길 원하는가! (0) | 2016.12.12 |
최고의 소통 (0) | 2016.12.12 |
소통을 돕는 일상의 소제들 (0) | 2016.12.12 |
유아 성 교육 (0) | 2016.06.07 |
아이들이 만들어 가는 교육, 평화 교육 (0) | 2016.05.25 |
아이들이 사는 성(유아 성교육) (2) | 2016.05.14 |